미군, 베트남 전쟁의 끝이 보인다고 선언하다
1964년 미국은 통킹만 사건을 빌미로 베트남 전선에 뛰어 들었다. 전면적인 확전에 반대해온 케네디 대통령이 암살되고, 대통력직을 이어받은 린든 존슨은 미국의 전면적인 베트남 전쟁 참전을 지시했다.
이후 미국은 총 병력 50만명과 베트남군 140만명을 포함한 약 200만명의 병력으로 남 베트남의 공산주의 세력을 축출하고 인도 차이나 반도에 공산주의가 뿌리내리는 것을 막기 위한 군사 작전에 돌입한다. 이에 대항하는 북 베트남은 보 구엔 지압 장군의 지휘아래 총 병력 40만 (졍규군 25만 비 정규군 14만, 기타 지원 부대 1만)으로 베트남 전역에서 외국의 영향력을 제거하고 통일 베트남을 완성하기 위한 작전을 시작했다.
양측의 격돌을 바라보는 세계의 시각은 당연히 미국의 완승을 기대했다. 전세계 최고의 군사 강국이자 경제 부국인 미국이 작고 힘없고 개발도 안되어 있는 북 베트남정도는 우습게 끝장 낼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미국의 장군이였던 웨스트몰렌드 장군 역시 그런 생각에 대해 전혀 의심을 가지지 않았다.
그의 전략은 압도적인 군사력을 바탕으로 베트남군과 남부 베트남 해방군 (베트콩)에게 지속적인 피해를 입히고, 피해를 견디지 못한 베트남 군과 베트남 해방군이 공세로 나왔을 때 대규모 반격 작전을 통해 괴멸 시킨다는 계획이었다.
1964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공세 작전은 성공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베트남 해방군에 의한 게릴라 활동은 점차 국경쪽으로 밀려나고 있었고, 북 베트남의 미군의 폭격과 공습에 전의를 상실하고 있다고 믿어졌다. 웨스크 몰랜드 장군은 1967년 11월 베트남 전선이 안정화 되고 공산주의자들의 공격을 격퇴하는 단계인 베트남 전쟁의 끝이 보이고 있다고 선언했다.
내정 안정이 아닌 군사적 섬멸로 반감을 산 미군
하지만 1968년 1월 30일 베트남 해방전선과 북 베트남 정규군의 기습적인 구정 공세는 미국의 이런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전세계에 알렸다. 보 구엔 지압은 국경지대의 미군 군사 기지인 케산을 포위하여 미군의 관심을 유도한 다음, 구정 연휴에 제안된 휴전 기간에 남 베트남 100여개 전역에서 동시 다발적인 공격을 시작했다.
보 구엔 지압 장군과 북 베트남 군이 이 작전을 통해 과시하고자 한 것은 두가지 였다. 첫째 미군에게 베트남 전쟁이 그들이 생각한것처럼 곧 끝날 전쟁이 아니고, 언제 어디에서든지 베트남군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공격이 가능하다는 공포감 조성이였다. 두번째, 전쟁 뉴스를 통해 미국 국민들에게 전쟁이 미국 정부에서 홍보하는 것처럼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였다.
결국 미국은 구정 공세가 종료되고 케산의 포위가 풀리고 나서 그 이전까지 생각하지 않았던 북 베트남과의 휴전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게 되었고, 베트남에 대한 전면 참전을 주장했던 린든 존슨의 민주당은 정권을 리차드 닉슨이 이끄는 공화당에게 넘겨주게 된다.
무엇이 잘못 되었던 걸까? 그리고 북 베트남은 무엇을 성공적으로 한것일까?
미국측의 가장 큰 잘못은 전략적인 목표와 그것을 수행하기 위한 전술에 문제가 있었다. 미국측의 전략적인 목표는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공산주의 확산을 막는 것이였다.
하지만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전술적인 방식은 군사력을 활용한 베트남 해방전선과 북 베트남 군이 남부 베트남으로 침공하는 것을 막는 것으로 본 것이 문제였다. 당시 베트남 사회는 오랜 기간의 프랑스 식민지 지배를 벗어나 독립 국가로의 나아가길 원하고 있었다. 이런 배경에서 민주주의 수호를 내걸고 남 베트남에 진주한 미군을 베트남 국민들은 또 다른 외국 점령군으로 볼 수 밖에 없었다.
이런 환경에서 미국이 취해야 하는 전술은 내정 안정이 최우선 되었어야 하지만, 군사적인 색출 – 섬멸에 주력함으로써 점점 큰 문제를 안게 되었다. 내부의 결속력을 다지고, 안정을 꾀하면서 수세적인 입장에서 민간인을 보호하는 작전을 수행하는 것이 베트남 국민의 입장에서는 그들을 보호하러 온 군대라는 인상을 줄 수 있는 방법이었다.
하지만 웨스트몰랜드 장군을 비롯한 미군 수뇌부는 이 작전을 단순한 군사 작전으로 판단했으며, 적이 차지하고 있는 지역을 아군이 탈환하는 영토 분쟁으로 인식했다. 이런 군사적인 접근은 일선 부대들에게 군사 작전의 강화만을 지시하게 됨으로써 민간인들과의 괴리감을 오히려 높이게 되었고, 식민지 군대와 같은 점령군 그 이상을 보여주지 못했다.
물량전의 영광에 도취된 미국 vs 전략과 전술의 조화를 이룬 북 베트남
또한 미국이 군사적인 전면전을 통해 전쟁을 끝낼 계산을 가졌다면 북 베트남측에 대한 지상군 공격을 강화하는 전략으로 나가는 것이 맞았으나 미국 수뇌부는 정치적인 이유로 그런 전술도 선택하지 못하고 만다. 여기에 미국이 가지고 있는 자원과 베트남 현지의 조건, 정치 경제적인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2차 대전과 한국전쟁에서 사용했던 전략을 밀고 나가는 오류를 범함으로써 베트남군이 미군의 움직임을 미리 감지하고 그에 맞춰 대응할 수 있도록 유도한 문제도 발생 시켰다.
전쟁은 물량 동원을 통해 승리가 가능하다고 믿고, 자신들의 힘들 과신하고 과거의 영광에 도취된 미군의 운명은 이미 결정 나있었던 것이다.(미군이 비 정규전 게릴라들을 상대로 내전 상황에 대처하는 교전 교리를 바꾼 것이 놀랍게도 2006년 도널드 럼스펠드 국방 장관의 실각을 가지고 온 이라크 침공 작전 실패 이후라고 한다.)
반면 북 베트남의 보 구엔 지압 장군은 이번 전쟁의 승패가 정치적인 싸움에서 결정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전형적인 게릴라 전쟁을 준비했다. 프랑스군이 철군한 시기부터 시작된 베트남군의 게릴라 전술은 남 베트남 정부의 부패와 결합하여 빠르게 일반인들 사이에 공산주의를 퍼트려갔고, 미군과의 대규모 전면전을 진행하여 손실을 막대한 손실을 입기 보다는 미국의 색출- 섬멸전에 대항하여 매복- 기습의 방식으로 미군에게 지속적인 피해를 주는 전술을 택했다.
67년이후 미국이 베트남에서의 군사 작전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도록 게릴라 공격의 빈도를 줄여나가다가 최종적으로 미군이 전세가 완전히 기울었다고 대대적으로 선전을 하던 68년도 초반을 기점으로 구정 공세를 펼침으로써 전쟁이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성공했다.
보 구엔 지압의 전략은 군사적으로 미국을 베트남에서 몰아내는 것이 아닌 정치적인 승리를 거두는 것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고, 이에 따른 전술 역시 미군에게 전면전이 아닌 정치 공세와 지속적인 피해를 통한 미국의 내부에서의 피로감을 유발한다는 전략을 수행했다.
전략과 전술의 조화가 이루어낸 결과는 자명했다. 미군은 불패의 강국이라는 이미지에 먹칠을 하면서 물러날 수 밖에 없었고, 미군이 물러나고 2년뒤 북베트남의 총 공세 앞에 남 베트남은 정권은 붕괴 할 수 밖에 없었다.
현대 기업에 던지는 메시지: 조직과 개인의 궁극적 조화
베트남 전쟁에서 볼 수 있듯 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전략과 전술의 조화는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결과를 가지고 온다. 중국의 고대 역사에 나오는 초-한의 전쟁도 이런 모습을 잘 그리고 있다. 초나라의 항우는 수없이 많은 전투에서 절대 지지 않는 맹장의 위용을 자랑하지만 해하전투에서 패하여 결국 유방에게 패권을 넘겨준다.
항우와 유방의 전쟁을 보면 유방은 큰 그림을 그리면서 천하의 패권을 차지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는 반면, 항우는 군사력과 일대 결전을 통한 전투의 승리만을 노리는 문제점을 드러낸다. 미국과 베트남간의 전쟁도 자세히 살펴보면 수 없이 많은 미군의 승리가 기록되어 있음을 알고 있다. 미국은 제공권을 장악했고, 강력한 화력과 군사력을 활용해 어떤 종류의 베트남군 공세도 막아 낼 수 있었다.
하지만 베트남군은 미군을 두려워하지 않았고, 미군은 베트남 군을 두려워했다. 계속되는 전투의 승리(전술적 승리)에도 불구하고 미군은 전략적으로 베트남군이 쳐 놓은 수렁에 점점 깊숙이 빠져들어간 것이 베트남 전쟁의 결과를 가지고 온것이다.
기업과 사회에서도 똑 같은 일들이 발생한다. 경쟁속에 살아 남기 위해 기업들과 개인들은 끊임없이 전투를 치러야 하는 문제에 봉착한다. 하지만 조직과 개인이 궁극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목표와 그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방법간의 일치가 되는 경우가 흔하진 않다.
그것은 자신이 새운 목표와 자신의 역량과 조건 그리고 열정에 개인별, 조직간에 차이가 존재하는데 불구하고 모두가 유사한 방법이나 성공적이라고 소문난 방식을 채택하기 때문이다. 이는 기존에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는 방법을 답습하는 것을 반복하는 오류를 가지고 올 뿐 아니라 자신의 능력과 조건에 맞는 전술을 사용하지 못하는 오류를 가지고 온다. 또한 개인과 조직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표가 얻고자 하는 방향에 전혀 어울리지 않는 방법으로 나가는 것도 볼 수 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것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을 집행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일 것이다. 내부의 사람들이 우리가 추구하는 목표와 방법에 대한 이해가 낮다고 한다면 과연 성공 할 수 있을까? 개인이 거창한 목표를 세웠지만 그것을 실행해나는데 있어서 그것을 추구하는데 있어 도움을 주어야 하는 네트워크에 문제가 있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라는 것도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원문: 로빈의 서재
The post 베트남 전쟁: 미국 실패의 원인과 교훈 appeared first on ㅍㅍㅅㅅ.
'지식.정보.시사.역사.과학.건강 等'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17일 제헌절의 의미 (0) | 2014.07.17 |
---|---|
당신이 글을 써야만 하는 이유, 신화에서 벗어나자. (0) | 2014.07.15 |
하나님의 걸작품, 인체의 신비 18분 동영상 (0) | 2014.07.13 |
6·25 고지전투의 아픈 기억, 연천 유엔군 화장터 (0) | 2014.07.12 |
외국 학자들이 보는 대한민국의 조상, 동이족(東夷族).. 글 : 오소운 목사 (0) | 2014.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