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라사랑.시사.

인혁당 사건) 안병직, “4·19 후 첫 자생적 공산주의 혁명운동조직이었다” -金成昱

by 설렘심목 2012. 10. 29.

인혁당 사건

 

안병직, “4·19 후 첫 자생적 공산주의 혁명운동조직이었다”

-金成昱        

 

인민혁명당(인혁당) 사건은 1964년 검거된 1차 사건과 1974년 검거된 2차 사건(인혁당 재건위 사건)으로 나뉜다. 현재 논란이 되는 것은 2차 사건이다.

 

▪1차 사건은 북한과의 연계성이 뚜렷했다. 인혁당은 남파간첩 김영춘에 포섭된 도예종·이재문, ‘빨치산’ 출신 박현채 등이 조선노동당 강령을 토대로 작성한 정강에 기초해 62년 1월 결성한 地下黨(지하당)이었다. 지하당은 통상 중앙당인 북한 조선로동당의 지령을 받아서 활동해 온 남한 내 비밀조직을 가리킨다.

 

인혁당 역시 북한의 지령에 따라 간첩활동을 하다 64년 검거됐고 이같은 사실은 노무현 정권 당시 과거사위원회에서도 부인되지 않았었다.

 

▪주동자들은 1차 사건 이후 또 다시 유사한 투쟁(?)에 나섰다. 도예종은 73년 2차 인혁당 재건에 나섰고 우동읍·김배영은 무죄 판결을 받은 뒤 越北(월북)했다. 이재문, 임동규 등은 79년 공산주의 폭력혁명 조직인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남민전) 활동을 벌인다. 남민전은 남한에서 공산혁명이 이뤄지면 북한군에 지원요청을 하기로 모의한 반국가단체다. 조직원들은 혁명 성공 이후 중앙청에 게양할 붉은 별이 그려진 대형 戰線旗(전선기 : 조직을 상징하는 깃발)를 준비했다. 붉은 별은 ‘사회주의 혁명의 희망’을 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깃발은 사형당한 도예종 등 소위 ‘8열사’가 입었던 내의를 염색한 천으로 만들어졌다.

 

▪안병직 서울대 명예교수(75)는 저서 ‘한국 민주주의 발전과 미래’를 통해 건국 후 60년 동안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룩한 보수·우파세력의 발자취를 뒤돌아보면서 민주화운동을 從北主義(종북주의)와 분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安교수는 책을 통해 자신의 60~70년대 서울 상대 좌익운동을 증언하면서 64년 인혁당 사건을 “4·19 후 첫 자생적 공산주의 혁명운동조직이었다”고 증언한다.

 

安교수는 62년 당시 서울대 대학원 재학 당시 인혁당 핵심 연루자 박현채 교수의 지도 아래 사회주의자가 됐다고 털어놨다. 安교수의 선배인 朴교수는 60~70년대 대표적 좌파 경제학자로 통했다. 朴교수는 6·25 때 북한 인민군이 패퇴하자 16세 나이로 입산해 2년간 빨치산 활동을 벌인 인물이다. 우여곡절 끝에 서울대 경제학과에 입학한 그는 안병직등 상대 후배들의 좌익 세뇌공작에 앞장섰다고 한다.

 

▪2차 인혁당은 1차 인혁당 사건 연루자들이 1973년 재건한 조직이다. 당시 재판부는 2차 인혁당에 대해 ‘북한의 소위 인민혁명 수행을 위한 통일전선에 영합, 공산국가 수립을 결의해 인혁당을 조직한 뒤 민청학련을 조직해 학생데모·대중봉기를 유발토록 조종하는 등 내란을 모의했다’고 판시했다.

 

정부는 도예종, 서도원, 하재완, 이수병, 김용원, 송상진, 우홍선과 학원관련자 여정남 등 8명의 사형이 확정되자 바로 형을 집행했다. 사형집행 이후 당시 정권의 공권력 남용 논란이 일었고 진상조사와 재심요구가 이어졌다.

 

▪2005년 12월 노무현 정권의 ‘과거사위(과거사진실규명을통한발전위원회)’는 민청학련 사건과 인혁당 사건을 재조사했고, 2007년 1월 법원역시 再審(재심) 판결을 통해 73년 당시 법원이 2차 인혁당을 반국가단체로 규정해 도예종 등 8명을 사형한 ‘무리한 법집행’ 부분을 무효로 판단했다. 그렇지만 이 再審(재심)판결이 2차 인혁당의 실체가 없으며 조작된 것이라는 판단은 아니다. 북한과의 연계성 증거가 불충분하지만 1차 인혁당으로 복역한 도예종 등이 지하에 흩어진 세력을 규합, 독자적 지하혁명조직을 건설하려 했던 것은 분명했다.

 

▪예컨대 박정희 정권 당시 좌익운동가로서 인혁당 사건의 주범 도예종과 친밀했던 金正剛(김정강)은 “인혁당은 제1차 사건 때부터 실제로 존재했다(1995년 1월호, 1996년 8월호 <자유공론>)”며 사형된 도예종 스스로 “이번에(1964년 1차 인혁당 사건 당시) 검거되기는 했으나 법정투쟁에 의해서 승리적으로 넘어왔고 당은 노출되지 않았으므로 전략적으로 승리라고 봐야 한다”고 말하면서 앞으로 당이 재건되면 입당하라고 권유했다고 증언했다(출처: 정행산(1996), ‘인혁당 과연 조작인가’ <자유공론>).

 

요컨대 인혁당이라는 지하당 자체는 존재했다는 것이다. 김정강은 다른 인터뷰에서도 인혁당의 실체를 주장하며 이렇게 증언했다. “인혁당은 법정투쟁(연루자들이 실체를 부인하는 법정투쟁 : 편집자주)에서 성공했습니다.(…)검사들은 좌파사건들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 잘 모르기 때문에(…)그 사람들이 일제히 부인하니까, 처음에는 당황했죠. 나중에는 이 사람들이 엉뚱하게 걸려들었구나 하고 착각을 한 거지요.(···)결국에는 조직으로서가 아니고 고무 찬양 조항으로 유죄가 돼서 (교도소로) 넘어 왔단 말입니다(출처: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편(2001), ‘내가 겪은 민주와 독재’, 선인출판, 90~91페이지)”

 

▪2차 인혁당 관련자들의 이후 행적도 참고할 만하다. 사형이 집행된 8인을 제외한 관련자들은 1982년 모두 석방됐는데 이후 이적단체와 친북단체 활동을 주도해갔다. 전창일은 조국통일범민족연합남측본부(범민련 남측본부) 결성준비위 부위원장과 2005년 인천 맥아더동상 파괴를 주도한 통일연대 고문으로 활동했다. 김한덕은 범민련 남측본부 부의장, 나경일은 범민련 남측본부 대구경부연합 부의장, 이태환은 범민련 남측본부 상임위원, 임구호는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사건 후 관련자들의 행적은 한기홍著 ‘진보의 그늘’ 인용)

.

▪법원의 再審(재심)판결에 나오듯, 2차 인혁당 사건 연루자 8명을 사형한 것이 ‘무리한 법집행’이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2차 인혁당이 북한과 연계된 1차 인혁당 연루자들이 재건했다는 人的(인적) 연계성 역시 사실이다. 무엇보다 6·25사변 이후 남로당→인혁당→통혁당→남민전→중부지역당→민혁당→일심회→왕재산 등 ‘대한민국을 전복키 위한’ 북한의 집요한 지하당 공작의 역사도 부정할 수 없다. 단선적 사고가 아닌 심층적 사고, 역사를 보는 균형적 시각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 있다.

 

2012.9.21.대한민국 대청소 500만야전군 의장 지만원. http://www.systemclu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