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검지만 펴고 나머지는 주먹을 쥔 모양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는숫자 ‘1’을 나타낸다. 유럽과 서양 국가에서는 ‘1’뿐 아니라 ‘실례합니다’, ‘안 돼’라고 할 때 이런 손가락 모양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 ‘하늘이 내려다보고 있다’는 뜻도 있으니 유의할 것.
![]()
2. 양손을 모두 편 상태 서유럽과 동양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통상 숫자 ‘10’을 의미한다. 또 유럽에서는 ‘항복’을 뜻하기도 한다. 누군가에게 결백을 이야기할 때 ‘정말이야!’라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
3. 엄지와 새끼손가락은 펴고 검지는 반만 구부리고 하와이에서는 힘든 일을 마친 후 ‘편히 쉬어’라고 말할 때 이런 손 모양을 만들기도 한다. 네덜란드에서는 친구에게 ‘한잔할래?’라고 말할 때 손 모양을 이렇게 만든다. 손의 모양이 꼭 호프잔을 든 모양과 닮아서다.
![]()
4. 검지와 엄지만 편 상태 유럽에서는 숫자 ‘2’를 가리킨다. 영국, 호주, 뉴질랜드에서는 숫자 ‘1’을 뜻한다. 미국에서는 웨이터를 부를 때 이런 손 모양을 만들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저주’를 뜻하는 상징. 상대에게 모욕을 줄 때 이런 손 모양을 만든다.
![]()
5. 일반적인 OK 사인 모양 우리나라에서는 물론 OK 사인을 뜻한다. 서유럽과 북미에서도 OK 사인. 하지만 지중해 연안과 러시아, 터키에서는 ‘성적 모욕’을 줄 때 손가락 모양을 이렇게 만든다. ‘동성애자’, ‘구멍’이라는 뜻이 있다. 튀니지와 프랑스, 벨기에에서는 숫자 ‘0’ 또는 ‘형편없다’는 의미도 내포한다.
![]()
6. 상대를 향해 손가락을 모두 편 상태 대부분의 서양 국가에서는 ‘5’를 뜻한다. 또 ‘멈춰’라는 뜻도 담고 있다. 하지만 그리스와 터키에서는 이런 손 모양을 만들지 말 것. ‘지옥에나 가라!’라는 뜻이다.
![]()
7. 중지만 편 상태 모두 다 알고 있듯 욕이다. ‘엿 먹어라!’라는 뜻.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이런 손 모양을 만들면 안 된다.
![]()
8. 검지와 새끼손가락만 편 상태 몰타와 이탈리아에서는 손가락 끝으로 상대방을 가리키면 ‘악마의 눈에서 보호받기를!’이라는 뜻이다. 남미에서는 손을 돌리면서 이런 모양을 취하면 ‘불행에서 보호받기를!’이라는 뜻. 지중해 연안 국가에서는 ‘네 아내가 부정을 저질렀다’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
9. 엄지만 접고 나머지 손가락은 편 모양 서구에서는 숫자 ‘4’를 나타낸다. 하지만 일본에서 이렇게 했다가는 낭패를 당하기 쉽다. ‘경멸한다’는 뜻을 가진 모욕적인 손짓이다. 아주 싫은 사람에게만 ‘마음먹고’ 이런 손모양을 만들어 보여주어라.
![]()
10. 모두 말아 쥐고 엄지만 편 상태 ‘최고다’, ‘좋다’, ‘OK’의 뜻으로 사용된다. 히치하이크를 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유럽에서는 숫자 ‘1’을 나타낼 때, 일본에서는 ‘남자’와 숫자 ‘5’를 상징한다. 하지만 호주에서는 이런 모양을 위로 치올리면 ‘엿 먹어라!’라는 뜻이며 그리스에서는 앞으로 찌르듯 내밀면 ‘엿 먹어라!’라는 뜻이다.
![]()
11. 새끼손가락만 편 모양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여자, 애인’을 뜻하는 이 손가락 모양은 나라마다 아주 다르게 쓰인다. 남아메리카에서는 ‘얇다’는 뜻이고, 프랑스에서는 ‘허튼수작 하지 마라’, 발리에서는 ‘나쁘다’라는 표현. 지중해 연안 국가에서는 ‘남자의 성기가 작다’는 뜻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12. V자 모양 ‘승리’를 표시할 때. 숫자 ‘2’를 나타낼 때도. 미국도 마찬가지. 프랑스에서는 ‘평화’를 뜻하기도. 하지만 영국과 뉴질랜드, 호주, 몰타에서는 이런 모양을 함부로 만들면 안 된다. 상대에게 손가락을 V자로 펴 보이면 ‘죽어라’라는 뜻이기 때문. 사진을 찍을 때 ‘김치~’하고 무심코 손가락을 폈다간 얻어맞을 수도 있다.
![]() 13. 엄지와 검지, 중지를 편 상태
유럽에서는 숫자 ‘3’을 나타낸다. 가톨릭 국가에서는 ‘축복’을 뜻하기도 한다.
|
'지식.정보.시사.역사.과학.건강 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여성들이여. 무슬림남성과 결혼하면 그 순간 죽음이 시작된다. (0) | 2011.06.09 |
---|---|
공신력있는 치매예방법 BEST 7 (0) | 2011.05.28 |
달의 모양변화와 이름.. (0) | 2011.04.19 |
가여운 일본여인들의 기모노유래.. (0) | 2011.04.19 |
백두산 분화 징후 뚜렷해졌다. (0) | 2011.04.14 |